티스토리 뷰

반응형

기초생활수급자(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의 자격 조건과 소득인정액 기준, 부양의무자, 소득/재산 기준, 수급권자 범위의 특례 등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자격 조건에 해당하신다면 바로 신청하셔서 각종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조건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조건 부양의무자 소득인정액 안내)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기초생활수급자 조건은 수급권자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급여종류별 수급자 선정기준 이하인 경우가 해당됩니다.

 

2023년 기준중위소득

2023년 기준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가구규모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7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2,077,892 3,456,155 4,434,816 5,400,964 6,330,688 7,227,981 8,107,515

 

※ 8인 이상 가구는 7인가구 기준 중위소득에서 6인가구 기준 중위소득의 차액을 7인가구 기준 중위소득에 더하여 산정합니다.

 

2023년 급여종류별 수급자 선정기준

2023년 급여종류별 수급자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가구규모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7인가구
생계급여
(30%)
623,368 1,036,846 1,330,445 1,620,289 1,899,206 2,168,394 2,432,255
의료급여
(40%)
831,157 1, 382,462 1,773,927 2,160,386 2,532,275 2,891,193 3,243,006
주거급어
(40%)
976,609 1,624,393 2,084,364 2,538,453 2,975,423 3,397,151 3,810,532
교육급여
(50%)
1,038,946 1,728,077 2,217,408 2,700,482 3,165,344 3,613,991 4,053,758

 

※ 계급여 수급자 선정기준인 기준 중위소득 30%는 동시에 생계급여 지급기준에 해당합니다.

※ 8인  이상 가구의 급여별 선정기준:1인 증가할 때마다 7인가구 기준과 6인가구 기준의 차이를 7인가구 기준에 더하여 산정합니다.
- 8인가구 생계급여수급자 선정기준:2,696,116원=2,432,255원(7인기준)+263,861원(7인기준-6인기준)

 

소득인정액 산정방식

 

소득인정액 산정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 소득평가액 = (실제소득 - 가구특성별 지출비용 - 근로소득공제)

※ 재산의 소득환산액 = [(재산 - 기본재산액 - 부채) × 소득환산율

 

 

소득인정액 산정방식이 복잡하죠? 하지만 소득인정액을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소득인정액을 쉽게 계산하시길 바랍니다.

 

 

부양의무자 기준

부양의무자 기준은 의료급여에만 해당됩니다.

 

부양의무자가  없거나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능력이 없거나 또는 부양을 받을 수 없는 경우 부양의무자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양의무자 부양능력 부양의무자기준
부양의무자 없음 - 부양의무자 기준 O
부양의무자 있음 부양능력 없음 부양의무자 기준 O
부양능력 미약 부양의무자 기준 △
(부양비 지원을 전제로 선정)
부양능력 있음(부양불능, 기피 등) 부양의무자 기준 O
부양능력 있음(부양이행)  

 

부양의무자의 범위

수급권자의 부양의무자 범위는 1촌의 직계혈족(부모, 아들 · 딸 등) 및 그 배우자(며느리, 사위 등)가 해당됩니다.

단, 사망한 1촌의 직계혈족 배우자는 제외됩니다.

 

부양능력 유무의 판정

 

부양능력 유무의 판정은 소득과 재산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소득과 재산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양능력 있음 : 부양의무자의 부양능력 판정소득액이 A의 40%와 B의 100%를 합한 금액 이상이거나, 재산의 소득환산액이 A와 B의 합의 18% 이상인 경우가 해당됩니다.
  • 부양능력 미약 : 부양의무자의 부양능력 판정소득액이 B의 100% 이상 A의 40%와 B의 100%를 합한 금액 미만(노인, 장애인, 한부모가구의 부양의무자는 별도기준 적용)이고, 재산의 소득환산액이 A와 B의 합의 18% 미만인 경우가 해당됩니다.
  • 부양능력 없음 : 부양의무자의 부양능력 판정소득액이 B의 100% 미만이고, 재산의 소득환산액이 A와 B의 합의 18% 미만인 경우가 해당됩니다.

부양의무자 부양능력 판정 도해

 

부양능력 유무의 판정 예외

부양능력 유무의 판장 예외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부양의무자 가구의 소득이 부양의무자 가구 기준 중위소득의 50% 미만이면서 부양의무자 가구에 근로능력이 있는 가구원이 없거나, 재산이 주택(전세 포함)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는 부양의무자 재산기준 특례를 적용합니다. (A+B) ×18% → (A+B) ×40%

 

▶ 부양부양의무자가 혼인한 딸(배우자와 이혼 · 사별한 딸, 미혼모인 딸 포함), 혼인한 딸에 대한 친정부모인 경우는 아래 기준을 적용합니다.

  • (소득기준) 부양의무자 가구의 소득이 부양능력 ‘ 있음’에 해당하더라도 부양능력 미약으로 봅니다.
  • (재산기준) 금융재산 2억 원 미만

 

부양능력 미약자에 대한 부양비 산정

 

부양능력 미약자에 대한 부양비 산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양능력이 미약한 경우는 수급권자에 대한 부양비 지원을 전제로 부양능력이 없는 것으로 인정합니다.
  • 부양비 = (부양의무자 실제소득 - 부양의무자가구 기준 중위소득의 100%) × 부양비 부과율
  • 생계급여는 부양비 부과율을 10% 적용합니다.
  • 의료급여는 부양비 부과율을 수급권자와 부양의무자의 관계에 따라 15%, 30% 차등 적용합니다.

 

부양능력 있는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을 받을 수 없는 경우

부양능력 있는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을 받을 수 없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부양의무자가 병역법에 의해 징집 · 소집되거나 해외이주, 교도소 · 구치소 · 치료감호시설 등에 수용, 가출 또는 행방불명이어서 부양불능상태인 경우
  • 부양의무자와 가족관계 해체상태로 정상적인 가족기능을 상실하여 정서적·경제적 부양을 받을 수 없는 경우 등 부양을 기피하거나 거부하는 경우
  • 수급(권)자가 부양을 받을 수 없다고 보장기관장이 확인한 경우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부양의무자 기준이 폐지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부양의무자 가구에 장애인연금 수급자 등 중증장애인이 포함된 경우
  • 부양의무자 가구에 기초연금 수급 노인이 포함된 경우
  • 수급(권)자가 30세 미만의 한부모가구, 보호종료아동인 경우

 

개인단위 보장에 따른 수급권자 범위의 특례

 

개인단위 보장에 따른 수급권자 범위의 특례는 의료급여 특례와 자활급여 특례가 있습니다.

 

의료급여 특례

다음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는 지속적인 의료비 지출을 요하는 가구원 개인에 한하여 의료급여를 실시합니다.

 

※ 실제소득에서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지출되는 의료비를 공제하면 의료급여 선정기준 이하에 해당하나, 수급자 선정 이후에는 공제 대상 지출이 발생하지 않아 의료급여 선정기준을 초과하는 가구

 

자활급여 특례

수급자가 자활근로, 자활기업, 자활인턴 등 자활사업에 참가하여 발생한 소득으로 인하여 소득인정액이 의료급여 선정기준을 초과한 경우 해당자 개인에 대하여 자활근로, 자활기업, 자활인턴 등에 참가할 수 있도록 자활급여를 계속 지급합니다.

 

외국인에 대한 수급권자 범위의 특례

외국인에 대한 수급권자 범위의 특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출입국관리법] 제31조에 따라 외국인 등록을 한 사람으로서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

  • 대한민국 국민과 혼인 중인 사람으로서 본인 또는 대한민국 국적의 배우자가 임신 중인 사람
  • 대한민국 국민과 혼인 중인 사람으로서 대한민국 국적의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사람
  • 배우자의 대한민국 국적인 직계존속과 생계나 주거를 같이하는 사람
  • 대한민국 국민인 배우자와 이혼하거나 그 배우자가 사망한 사람으로서 대한민국 국적의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사람 또는 사망한 배우자의 태아를 임신하고 있는 사람

 

[난민법] 제2조에 따라 법무부 장관이 난민으로 인정한 사람

 

 

 


 

기초생활수급자 조건부터 외국인에 대한 수급권자 범위의 특례까지 잘 살펴보셨나요? 기초생활수급자는 어떤 감면혜택을 받는지 궁금하시죠? 기초생활수급자 혜택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반응형